728x90
<네트워크 입문>
- 통신: 전기, 전자적 혹은 빛을 이용한 기술 또는 장치의 도움을 받아서 원격지와 원격지 간에 이루어지는 정보의 교류
- 데이터 통신: 문자, 숫자, 기호 등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현하고 이를 원격지까지 전달하는 통신
- 통신의 역사: 패킷 교환 기술 > 인터 네트워킹 > 네트워크의 확장 > 인터넷의 성장 >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
- 계층 구조
- 통신 프로토콜: 통신 서비스 또는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해 통신 당사자 간 교환하는 정보의 종류와 표현 형식, 교환 절차, 그리고 교환 과정에서 실행해야 할 행위에 관한 규약
- 네트워크 계층 구조 모델: 일반 사용자는 OSI 7계층 맨 위에 있는 응용 계층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요청하게 되는데, 이 요청은 하위 계층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맨 아래에 있는 물리 계층을 통해 상대 호스트에 전송
- 요청이 각 계층으로 하달되는 과정에서 계층 별로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로 전달
- 네트워크의 기술 표준 종류: 적용 범위 / 표준 규정 / 적용 방법
- 사설 네트워크: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, 주로 회사 혹은 가정 내의 네트워크
- 공용 네트워크: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지 않음, 인터넷 접속 가능 (ISP가 공인 IP 부여)
- 네트워크 형태
- LAN: 근거리 통신망 / 사무실 또는 학교 등의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은 네트워크
- VPN: 가상 사설망 /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사용, 암호화
- WAN: 장거리 통신망 / 각각 떨어진 LAN 망을 연결, 규모가 큰 네트워크, ISP로 연결
(LAN<MAN<WAN)
LAN | WAN | |
역할 | 거점 내 기기끼리 연결 | LAN과 LAN끼리 연결 (거점끼리 연결) |
범위 | 좁음 | 넓음 |
속도 | 빠르다 | 느리다 |
- 서버를 운용하는 방식
** 서버: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(혹은 서비스)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혹은 장치
- 온 프레미스: 사내에 직접 서버 운용실을 두어 운용
- 클라우드 서비스: 직접 운용하지 않고 인터넷으로 운용
- 서버를 직접 운용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통해 서버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 서비스
- SaaS: 소프트웨어형 서비스 / 개인 사용자에게 최적화 (ex. 구글 드라이브)
- Pssa: 플랫폼형 서비스 /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 / 개발자 이용
- IaaS: 인프라형 서비스
- 하드웨어 등의 물리적인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/ 기업 및 IT 관리자 이용
- OSI 모델 (7계층)
- 표준 규격을 정하는 단체에는 여러 곳 중에서도 ISO라는 국제표준화기구가 있는데, 이 단체가 제정한 표준 규격
- 네트워크 기술의 기본이 되는 모델
- 데이터의 송수신은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
- 컴퓨터 내부에서는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, 이런 일을 일곱 개 계층(레이어)으로 나눔
1. 물리 계층: 네트워크 장치의 전기적, 기계적 속성 및 전송하는 수단
- 상위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레임을 신호로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
- 통신 장치와 커넥터, 인코딩, 송수신을 담당하는 회로 등의 요소 존재
- 허브와 리피터단순 중계기의 역할로 허브에 연결된 PC1이 다른 PC2에 데이터를 보내려 하면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에게 데이터를 전달하게 됨
- 리피터: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 장비로, 신호의 세기를 증폭하여 좀 더 먼 거리까지 통신 가능
- 허브: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포트에 연결된 PC끼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
- CSMA / CD
- 송신노드는 데이터를 전송하고, 다음 채널에서 다른 노드의 데이터 충돌 발생을 계속 감지
- 충돌 발생시에는 모든 노드에 충돌 발생을 통지하고 재전송을 시도
- 전송방식
- Simplex: 단방향 통신으로 수신측은 송신측에 응답 불가
- Half Duplex: 반이중 전송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이나 송수신 시간은 정해짐 (=무선기)
- Full Duplex: 전이중 전송방식으로 동시 양방향 통신 가능 (=전화기)
- 케이블과 커넥터: 전송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, 주요 케이블로 TP, 동축, Fiber
- TP: 총 8가닥의 선으로 구성되며 두 개의 선을 서로 꼬아 놓음. 선을 꼬는 이유는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하여 성능 향상
- 동축: 선 중앙에 심선이 있으며 그 주위를 절연물과 외부 도체로 감싸고 있음. 전화 또는 회선망 등 광범위하게 사용
- Fiber (광): 전기신호의 자기장이 없는 빛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장거리 고속 통신 가능 / 2개의 모드와 주요 커넥터 타입이 있음
- UTP 케이블: 주로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케이블로 이더넷 망 구성 시,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케이블
- 네트워크 전송 매체
- 유선 케이블
- UTP 케이블
- 다이렉트 케이블
- 크로스 케이블
- 동축 케이블우수한 주파수 특성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과 전송률
- 특징: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모두 전송 가능한 매체
- 광섬유 케이블누화나 전기적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음
- 데이터의 전송 손실이 매우 낮음
- 특징: 속도가 매우 빠름
- UTP 케이블
- 무선 케이블
- 라디오파
- 위성 마이크로파
- 코드 배열
- 8P8C: 8개의 선 배열에 따라 다이렉트 또는 크로스 케이블로 구성
- 스탠다드: ISO / IEC 11801, TIA-568, EIA-568
- Auto MDI-X케이블 타입에 관계없이 노드 상호 간 자동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
- 어떤 노드의 연결인지에 따라 다이렉트와 크로스 케이블을 선택
- Wi-Fi: 전자기기들이 무선랜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
2. 데이터 링크 계층: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과 물리 주소를 결정
- 데이터 링크: 네트워크 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하는 계층
- ex. 물리적 주소 설정, 흐름 제어, 에러 제어 등
- CSMA/CD
- CS(Carrier Sendings):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인가?
-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중인지 확인
- MA(Multiple Access): 통신 회선이 비어있는가?
- 데이터를 보내는 곳이 없다면 전송 시작
- CD(Collison Detection): 충돌을 감지하는가?
- 동시간대에 데이터를 보내게 되면 충돌이 일어나고 정리
- 그 이후, 특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첫번째 단계로 반복
- CS(Carrier Sendings):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인가?
- 이더넷: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,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 방식
- 유선 네트워크를 만듦
- 대부분의 LAN은 이더넷 방식
- Gigabit 이더넷: 데이터의 전송 속도 1Gbps로 상향
- 기존의 이더넷과 호환
- 스타형(성형) 네트워크 토폴로지 이용
- 네트워크 토폴로지
- 스타형 (성형)
- 중앙 집중식 형태 / 일대일 방식으로, 한 컴퓨터가 망가져도 다른 컴퓨터들은 작동
- 장점: 고속의 대규모 네트워크
- 단점: 중앙 시스템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 중단, 설치 비용
- 버스형
- 구조가 가장 간단
- 장점: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쉬움, 비용 저렴
- 단점: 버스(링크)의 어느 한 곳에 장애가 발생할 시,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주고 원인을 찾기 쉽지 않음
- 링형
-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연결
- 장점: 케이블 비용 저렴, 네트워크 전송 시 충돌이 없음
- 단점: 어느 한 곳에 장애가 발생할 시,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, 재구성이나 변경이 어려움
- 망형
- 공중 전화망과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 적합
- 장점: 어느 한 곳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회선 사용 가능, 신뢰성
- 단점: 설치 비용, 유지 보수 힘듦, 어느 한 곳에 장애가 발생할 시 원인을 찾기 쉽지 않음
- 주요 프로토콜: 이더넷, CSMA/CD
- 이더넷 프레임
- 캡슐화 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부착
- 역캡슐화 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 제거
- 이더넷 헤더: 목적지 MAC 주소, 출발지 MAC 주소, 타입
- 타입: 상위 프로토콜 종류 구분
- 이더넷 헤더: 목적지 MAC 주소, 출발지 MAC 주소, 타입
- MAC 주소 (=물리 주소, 하드웨어 주소)
- 특정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특정하는 주소
- 11-32-DA: 랜 카드 제조사 번호 (OUI) 24 bit
MAC IP
개념 | 미디어 접속 제어 주소 |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|
목적 | 장치의 실제 주소 식별 (물리적 주소) | 인터넷에서의 기기 간 연결을 식별 (논리적 주소) |
주소 표기와 크기 | 16진수로 표기 | |
ex. 48 bit 11-32-DA-F8-8B-9A | Ipv4: 10진수 / 2진수 (32비트) | |
IPv6: 16진수 128비트 | ||
공급자 | NIC 카드 제조업체에서 지정 |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ISP |
- 스위칭 (스위칭 허브)
- 이더넷을 통한 ‘하나의 네트워크’를 구성하는 기기
- 기존 허브에 스위칭 기능
- Point to Point 접속 가능 > 속도 저하 개성
- 더미 허브와 외관 상 차이 거의 없음
- 더미 허브
-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 간 중계 역할만 담당하는 장비
- 장치가 많아지면 속도 저하
- 더미 허브
- 스위치 동작
- 플러딩: 수신 포트를 제외한 다른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동작
- 필터링: 데이터의 도착지 MAC 주소와 MAC 주소 테이블의 MAC 주소와 비교한 후,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전송하지 않는 동작
- 포워딩: 주소 비교 시, 일치할 경우 전송하는 동작
3. 네트워크 계층: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전송
- 네트워크: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이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
- OSI 7 Layer의 3계층으로 패킷 포워딩과 네트워크 간 라우터를 통한 라우팅 수행
-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규정
- 주요 네트워크 기기: 라우터
- 주요 프로토콜: IP, ARP, ICMP, NAT, RIP, BGP, OSPF 등
- 데이터 단위: 패킷
- ** 패킷: 정보 기술에서 패킷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
4. 전송 계층: 신뢰성 있고 정확성 있는 전달
5. 세션 계층: 세션 연결 / 설정 / 해제와 통신 방식 결정
6. 표현 계층: 문자 코드 / 압축 / 암호화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 변환
7. 응용 계층: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
- TCP / IP 모델: 4계층 모델
- 캡슐화: 클래스 안에 서로 연관 있는 속성과 기능들을 하나의 캡슐(capsule)로 만들어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것 > 헤더를 붙이는 작업 (송신 과정에서 이루어짐)
- 응용 > 표현 > 세션 > 전송 > 네트워크 > 데이터 > 물리 순
- 역캡슐화: 수신 시 역캡슐화가 이루어짐 > 헤더를 제거하는 작업
- ** 헤더: 캡슐화 / 역캡슐화 시 덧붙이는 목적지 정보, 출발지 정보, 에러 체크 등의 필요한 정보
- PDU: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
- 메시지: 유저 데이터 + 응용 헤더
- 세그먼트: 메시지 +TCP 헤더
- 패킷: TCP + IP 헤더
- 프레임: 패킷 + 이더넷 헤더
- 유니캐스트 (하나의 송신지가 하나의 목적지로)
-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
- 멀티캐스트 (하나의 송신지가 다수의 목적지로) = 인터넷 방송
-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 중 일부에게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특정 그룹에 속해 있는 시스템에게만 한 번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
- 브로드캐스트 (하나의 송신지가 모든 목적지로)
-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
- 프로토콜: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이며, 네트워크에서도 문제 없이 통신하려면 규칙을 지켜야 함
- 예시: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한국인과 프랑스인이 영어로 대화
-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설정
- 예시: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한국인과 프랑스인이 영어로 대화
- 반이중 통신: 데이터의 송수신을 번갈아가며 하는 방식 (송수신 동시 불가능)
- 초기 이더넷은 반이중 통신
- 전이중 통신: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하는 방식
- 현재 이더넷은 전이중 통신 사용 가능
- 인코딩: Bit > Signal
- Signal의 종류
- 전기: Copper 케이블을 사용하며 전화선, UTP, 동축 케이블
- 빛: Optical Fiber 케이블이 이에 속하며, 빛의 패턴을 신호로 사용
- IEEE 802.3: 이더넷에서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의 매체 접근 제어 / 케이블
- 전파: 전파가 이에 속하며 마이크로파 패턴을 신호로 사용
- IEEE 802.11: 무선랜 규격
<IP 정의와 구조>
- 네트워크 계층에서 통신하는 주요 프로토콜로 라우팅을 구현하고 본질적인 인터넷을 구축하는 계기
- 전송 제어 프로그램의 비연결 데이터그램 서비스로 시작 > 연결 지향 서비스로 보완
-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은 IPv4이며, 후속 버전으로 IPv6 릴리즈
- IP 구조: 헤더 + 페이로드
- 헤더: 목적지 & 출발지 IP 주소 등을 포함
- 페이로드: 전송되는 데이터
- IP 주소 구성: 2진수 32비트
- 2진수는 어렵기 때문에, 일반적으로 10진수로 표현 (168.126.63.1)
- 2의 8승은 256 = 10진수 / 한 옥텟은 최대 0~255까지 가능
- IP: 비신뢰성 / 비연결형 / 주소 지정 / 경로 설정
- IP주소: 각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 주소
- 00000001 00000000 000000000 00000000
- 1옥텟 (8bit) = 총 4옥텟으로 32bit
- IPv6 버전은 IPv4를 대체하기 위해 등장
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표기 방법 10진수 (192.168.10.1) 16진수(CCCC:CCCC:CCCC:CCCC) 주소 개수 약 43억 개 (0.0.0.0~255.255.255.255) 무한대 서비스 품질 제한적 품질 확장된 품질 보안 기능 IPSec 별도 설치 기본 제공 - 네트워크 ID: 전체 중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이자 호스트의 집합 대표 주소 (집)
- 호스트 ID: 호스트를 식별 (집 안에 있는 컴퓨터)
- IP 주소 (10진수): 192.168.10.1
- IP 주소 (2진수): 11000000 10101000 00001010 / 00000001
- 네트워크 ID 호스트 ID
- IP주소 클래스 (IPv4 기준)
- A 클래스 (0로 시작): 1.0.0.0~ 126.255.255.255
- B 클래스 (10로 시작): 128.0.0.0~ 191.255.255.255
- C 클래스 (110로 시작): 192.0.0.0~ 224.255.255.255
- D 클래스 (1110로 시작): 224.0.0.0~239.255.255.255
- E 클래스 (1111로 시작): 240.0.0.0~255.255.255.255
- IP주소: 각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논리적 주소
MAC | IR | |
개념 | 미디어 접속 제어 주소 |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|
목적 | 장치의 실제 주소 식별 (물리적 주소) | 인터넷에서의 기기 간 연결을 식별 (논리적 주소) |
주소 표기와 크기 | 16진수 표기 / 48비트 | IPv4: 10진수 (혹은 2진수) / IPv6: 16진수 128비트 |
공급자 | NIC카드 제조업체에서 지정 | 네트워크 관리자 또는 ISP |
<서브넷 마스크>
전체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값을 설정
- 서브넷팅 IP 주소를 클래스로 구분하는 방법,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
- 서브넷: 분할된 네트워크
- 서브넷 마스크: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
- 할당된 네트워크 영역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브넷으로 쪼개어 구성
-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 서브넷으로 구분 > 서브넷 마스크
- 디폴트 게이트웨이: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 전송 시 거쳐야 하는 거점
- Prefix 표기법: 서브넷 마스크 표기를 간단히 표현, 네트워크 영역의 비트 “1”의 개수 의미
- 라우터패킷을 목적지 IP까지 최적의 경로로 전송할 수 있게 돕는 역할IP 헤더의 IP 주소는 그대로
- 동적 라우팅: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받아 갱신
- 정적 라우팅: 관리자가 직접 관리
- 전송 도중 이더넷 헤더와 FCS는 교체되어 MAC 주소가 변경됨
-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기
- 라우터의 이해
- 역할: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,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 같의 패킷 경로를 선택하여 선동
- router: 네트워크 간의 패킷을 전송해주는 장비
- routing: 네트워크 간의 패킷을 전달하는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
- routed: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대상 (=IP)
- 인터페이스: 라우터의 접속 가능한 포트로, 통신용과 관리용으로 구분
- 통신용: UTP, 광, 무선으로 구성, WAN 연결은 시리얼 포트 존재
- 관리용 (콘솔): 원격에서 접속 불가 또는 장애 시 장비에 직접 연결할 때 사용
- 라우터의 동작 방식
- Stating 라우팅: 가장 기본적인 라우팅 방식으로, 수동으로 경로를 라우터에 설정하여 패킷 처리
- 경로는 라우팅 테이블에 목적지 IP 주소 & 인터페이스 정보를 설정
- IP 네트워크 할당 - 서브넷 마스크 > IP 주소 할당 (각 서브네팅된 네트워크에 맞춰 IP 설정) > 각 라우터들의 정적 라우팅 테이블 구성 (경로 별 네트워크 대역을 확인해 커넥티드, 정적, 디폴드 라우팅 설정)
- ** 커넥티드: 포트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대역, 설정 필요 X
- RIP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
- 목적지로 도착하기까지 홉 수 정보를 저장하고 인접 라우터와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
- 홉(Hop Count): 목적지로 도착하기까지 거쳐야 하는 링크 또는 라우터의 수
- 일반적으로 30초마다 라우팅 테이블 갱신
- 120초 동안 정보를 받지 못하면 경로 단절로 판단
- 단절된 경우, 무한으로 표시
- UDP 520번 포트 사용
- 홉(Hop Count): 목적지로 도착하기까지 거쳐야 하는 링크 또는 라우터의 수
-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
- ex.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, Bellman-Ford 프로토콜
- RIP의 문제: 느린 수렴 (Slow Convergence)
- 해결방법
- 무한대로 홉 수로 16을 사용
- Split - Horizon
- Poison-Reverse: 반대쪽 네트워크 메트릭 값을 무한으로
- Triggered Update
- 해결방법
- 목적지로 도착하기까지 홉 수 정보를 저장하고 인접 라우터와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
-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
- 가장 많이 사용하는 IGP (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)
- 링크 상태 알고리즘 및 광고 기법 사용 > OSPF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링크 상태 DB 갱신
- Dijkstra 알고리즘으로 최적의 경로 계산: 특정 노드에서 다른 모드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 알려줌
- Dijkstra(다익스트라) 알고리즘: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대표적인 최단 경로탐색 알고리즘
- 신속한 경로 갱신
- NAT (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)
- 사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(공용 네트워크)으로 통신하게 해주는 프로토콜
- 요청 시, IP 헤더의 출발지 사설 IP주소를 출발지 공인 IP 주소로 전달
- 공인 IP 주소, 사설 IP 주소
- A 클래스: 0.0.0.0~9.255.255.255 (10.0.0.0~10.255.255.255) 11.0.0.0~126.255.255.255
- B 클래스: 128.0.0.0~172.255.255.255 (172.0.0.0~172.31.255.255) 172.32.0.0~191.255.255.255
- C 클래스192.0.0.0~192.167.255.255 (192.168.0.0~192.168.255.255) 192.169.0.0~223.255.255.255
- ARP (Adree Resloution Protocol)브로드캐스트로 요청, 유니캐스트로 저장
- 브로드캐스트: 자신의 호스트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 전체를 대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일대다 통신 방식
- 유니캐스트: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
- ARP 캐시저장 후 또 다시 MAC 주소 요청이 들어오면 캐시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
- 획득한 목적지 정보를 20분 동안 저장
- 목적지 IP주소를 통해 목적지 MAC주소를 알아내는 주소 획득 프로토콜
- ICMP 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목적지 IP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
기능: 에러 보고 / 질의
** ping: 지정한 IP 주소와 통신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> ICMP Ehco 응답 / 요청
- 스위치
- 2계층의 대표적인 장비로 MAC 주소 기반 통신
- 허브의 단점 보완
- 동작 방식: 목적지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연결된 포트로 프레임 전달
- Learning: 출발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해당 주소 저장
- Flooding - Broadcasting: 목적지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으면 전체 포트로 전달
- Forwarding - Collision Domain: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영역이면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지 않음
- Aging: MAC 주소 테이블의 각 주소는 일정 시간 이후에 삭제
- 삭제 이유: 테이블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
- VLAN (Virtual Local Area Network)
- 물리적 구성이 아닌 논리적인 가상의 LAN을 구성하는 기술
- 불필요한 데이터 차단: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별로 나누어 관리
- 관리의 용이성과 보안: 호스트의 물리적 이동 없이 LAN 그룹 변경 가능
- 비용 절감: 새로운 LAN 추가 시, 물리적 스위치 구매 필요 없음
- 종류
- 포트 기반 VLAN
- 여러 개의 VLAN을 설정하고 각각의 LAN에 물리적인 포트 지정
- VLAN 변경이 필요한 호스트는 물리적인 포트 또는 스위치의 VLAN 설정을 변경
- MAC주소 기반 VLAN
- 각 호스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MAC주소를 각각의 VLAN에 정의
- 호스트가 이동되어도 VLAN 변경 필요 없음 / 신규 호스트 연결 시, 설정 변경 필요
- IP주소 기반 VLAN
- IP주소 서브넷 기반으로 VLAN을 나누는 방법서브넷: IP주소의 네트워크 영역의 크기를 나눈 것
- ** IP: 3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
- 포트 기반 VLAN
- Truck: 물리적 스위치 간 VLAN 연결 시, 하나의 물리적 연결로 VLAN 그룹 공유
- 대규모 망에서 스위치의 개수 증가 / VLAN 그룹 개수도 증가하여 물리적 연결 케이블 복잡
- 반면, 트렁크를 이용하면 많은 수의 VLAN 그룹들도 물리적 연결 케이블은 1개로 구성
- 트렁크 프로토콜: 이더넷 프레임에 식별용 VLAN ID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구별하여 통신 및 제어 가능
<연결형 통신, 비연결형 통신>
- 전송 계층
- 목적지까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
- 오류 점검 및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
- 주요 프로토콜: TCP, UDP
- 데이터 단위: 세그먼트
- 전송 계층 통신 방식
- 연결형 통신: 신뢰성과 정확성 (연결 필요)
- ex. TCP 프로토콜
- 비연결형 통신: 효율성 (빠르게, 일방적인 통신)
- ex. UDP 프로토콜 (연결 확립 절차X, 브로드 캐스팅 전송)
- 전송 계층 역할: TCP / 연결형 서비스 / 재전송 서비스 / 전이중 서비스 / 에러제어 / 흐름제어 / 혼잡제어
- 포트 번호: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구분하는 기능
- 응용 계층
-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
-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를 통신 대상인 서버가 인식할 수 있게끔 데이터(메시지)를 변환하는 계층
- 주요 프로토콜: DHCP, DNS, HTTP, SMTP, POP3, IMAP, SNMP, FTP
- 데이터 단위: 메시지
- DHCP (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): TCP/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
- 장점: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,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 방지
- 단점: DHCP 서버에 의존해 서버가 다운되면 IP 할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
- DNS: 도메인 이름을 기반으로 IP주소를 알아내는 것
- 정방향 조회: 도메인 이름 > 호스트 IP 주소를 얻음
- 역방향 조회: 호스트 IP 주소 > 도메인 이름
- HTTP: 웹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요청하고 응답하기 위한 프로토콜http: 프로토콜 / www.infle^arn.com: 호스트 / roadmaps: 경로
- HTTP 리퀘스트 라인GET: 메소드
- GET: URL로 지정한 데이터를 조회
- POST: 메시지 바디를 통해 서버에 데이터 전송 및 처리
- PUT: 서버에 파일 전송
- DELETE: 서버의 파일 삭제
- HEAD: GET요청에서 BODY를 제외하고 헤더만 가져온다
- 주요 HTTP 메소드
- ex. GET https://www.infle^arn.com HTTP/2
- HTTP 리스폰스 라인
- 1xx: 추가 정보
- 2xx: 성공, 요청이 처리되었음을 의미
- 3xx: 리다이렉션, 서버에서 새 URL로 리다이렉트를 유도
- 4xx: 클라이언트 에러, 클라이언트 측의 요청에 문제가 있어 처리되지 못하는 상태
- 5xx: 서버 에러, 서버 측에 문제가 있어 처리하기 못하는 상태
- HTTP 리퀘스트 라인GET: 메소드
- 200 OK: 상태 코드
- ex. http://www.infle^arn.com/roadmaps
- 무선 LAN
- 기존 유선 이더넷: 유선 케이블 배선
- 무선 LAN: 유선 케이블 없이 LAN 구축할 수 있는 기술
- 연결 방식
- 인프라스트럭처 방식
- 애드혹 방식 ex. 닌텐도 근거리 통신
- 현재 주요 무선 LAN 규격: IEEE 802.11n / IEEE 802.11ac
- 장점: 케이블 배선이 없어 편리
- 단점: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보안 상 위험이 높음
- 웹서버는 파일 경로 이름을 받아 경로와 일치하는 파일 콘텐츠를 반환
-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
- ex. 이미지, html, css, 자바스크립트 파일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Static Page (정적 웹 페이지)
- Dynamic Page (동적 웹 페이지)
- 인자의 내용에 맞게 동적인 콘텐츠를 반환
- 웹서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물
- 개발자는 Srevelt에 doGet을 구현
- ** Srevelt: WAS 위에서 돌아가는 자바 프로그램
- 웹서버: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 정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(아파치, 엔진엑스)
-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하는 기능 담당
- 기능
- 정적인 콘텐츠 제공 (WAS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자원 제공)
- 동적인 콘텐츠 제공을 위한 요청 전달
-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WAS에 보내고, WAS가 처리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
** WAS란?
DB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
서버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로서,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
웹 서버의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시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우팅 프로토콜 (Routing Protocol) vs 라우티드 프로토콜 (Routed Protocol) (0) | 2024.05.21 |
---|---|
네트워크 기초 정리 :: 네트워크 운용과 보안 (0) | 2024.01.16 |
네트워크 기초 정리 ::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 (1) | 2024.01.15 |
네트워크 기초 정리 :: 웹을 구현하는 기술 (0) | 2024.01.14 |
네트워크 기초 정리 ::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기술 (1) | 2024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