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령어 35

내가 보려고 정리한 Docker 명령어 :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

Virtual Box / Ubuntu에서 Docker 설치 이전 버전 설치 제거 sudo apt-get remove docker docker-engine docker.io containerd runc 패키지 설치 툴 명령어 sudo apt install -y apt-transport-https ca-certificates curl gnupg-agent software-properties-common 공식 GPG 키 등록> ubuntu@ubuntu-VirtualBox:~$‌ curl -fsSL | sudo gpg --dearmor -o /usr/share/keyrings/docker-archive-keyring.gpg 공식 GPG 키 추가 확인 ubuntu@ubuntu-VirtualBox:~$‌ sudo ..

Docker 네트워크 관련 설정 명령어 모음

브릿지 네트워크 기본적으로 도커가 설치될 때 생성되는 네트워크 컨테이너들 간에는 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 호스트 OS와 분리되어 있어, 호스트와 다른 IP 주소 범위를 사용 호스트 네크워트 호스트와 동일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호스트의 IP 주소를 그대로 사용 외부에서 컨테이너로의 접근이 더 간단해지지만, 여러 컨테이너 간의 격리 감소 오버레이 네트워크 여러 호스트에 걸쳐 있는 컨테이너 간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컨테이너의 IP 주소와 가상의 MAC 주소를 관리하여 호스트 간 통신 용이 ubuntu@host1:~$ sudo apt install bridge-utils [sudo] ubuntu 암호: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...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... 완료 상태 정..

SQL 함수 간단 실습 :: SELECT문2 (SELECT 사칙연산)

사칙연산: +,-,*,/,%,MOD SELECT 5 - 2.5 AS deffrence; >>> 5 - 2.5를 deffrence으로 가져와라. SELECT 3 * (2+4) / 2, 'Hello'; >> 3 * (2+4) / 2과, 'Hello'를 가져와라. 1. SELECT 'abc' + 3; >> 'abc'는 숫자가 아니기 때문에 3으로 출력 2. SELECT 'abc' * 3; >> 'abc'는 숫자가 아니기 때문에 0으로 출력 1. SELECT orderid, productid, orderid + productid AS '더하기' FROM orderdetails; >> orderdetails에서 productid와 productid, orderid + productid를 더한 데이터를 '더하기'로..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scp 옵션 사용법

명령어 scp이란? ssh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간에 파일을 주고받는 명령어 기본 형태 scp [옵션] [파일을 보낼 주소] [파일을 받을 주소] scp -r: 폴더를 복사할 때 사용 (전송 대상을 폴더로 지정) scp -P [포트 번호]: ssh 포트 지정 scp -p: 파일 전송 시 파일 수정 시간과 권한을 유지 scp -c: 파일을 압축하여 복사 scp -v: 파일 전송 과정을 출력 1. 로컬에서 원격으로 scp [옵션] [파일명1] [파일명2] [유저명]@[IP주소]:[받을 경로] 2.원격에서 로컬로 scp [옵션] [유저명]@[IP주소]:"[파일명1] [파일명2]" [받을 경로] 3.원격에서 원격으로 scp [옵션] [유저명]@[IP주소]:"[파일명1] [파일명2]" [유저명]@[I..

운영체제/Linux 2024.01.06

리눅스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정리 (2023.12.15 업데이트)

crontab: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 설정 crontab -e: 작업 설정 crontab -r: 작업 삭제 ls: 디렉터리 내용 출력 ls -a: 숨김 파일 포함 출력 ls -l: 상세 정보 출력 (주로 접근 권한 파악) cd: 이동 cd ..: 윗 단계로 이동 mkdir: 디렉터리 생성 (나열하면 여러 개 가능) ←→ rmdir touch: 파일 생성 chmod: 접근 권한 조정 r: read / w: wirte / x: execute a: 모두 u: 파일 소유자 / g: 그룹 / o: 그 외 사용자 find: 파일 찾기 / grep: 파일 내에서 글자 찾기 cat: 파일 내용 출력 cp: 파일이나 디렉터리 복사 cp [복사할 디렉토리나 파일] [복사될 디렉토리나 파일] 맨 마지막에 있는 걸 새로 ..

운영체제/Linux 2023.12.15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crontab 옵션 사용법

명령어 crontab이란? 일정 간격으로 정해진 명령어를 실행하는 명령어 기본 형태 crontab [옵션] crontab -e : 예약된 작업을 수정 (작업 내용 수정 가능) * * * * * /[파일명] 분(0-59) 시간(0-23) 일(1-31) 월(1-12) 요일(0-7) ex. 매분 /[파일명] 실행 * * * * * /[파일명] ex2. 매일 자정 0분부터 15분까지 /[파일명] 실행 0-15 0 * * * /home/test.sh 5개의 *= 분, 시간, 일, 월, 요일을 의미 crontab -l : 예약된 작업 목록 확인 crontab - r : 예약된 작업을 삭제

운영체제/Linux 2023.12.15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systemctl 옵션 사용법

명령어 systemctl이란? systemd(service 데몬)를 관리하는 명령어 * 데몬 (Service):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, 백그라운드에서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데몬 프로세스는 systemd, syslogd 처럼 프로세스 이름 마지막에 d가 붙음 기존 init 프로세스의 기능을 지원 및 통합 동작 모드에 따른 시작 서비스 관리 (기존 run level) 병렬 실행 및 종속성 모델 관리 커널 로그 엔트리 관리 (journald) 네트워크 연결 관리 (networkd) 로그인 관리 (logind) systemctl status 서비스 이름: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tus nginx ● nginx.service - The nginx HTTP and rever..

운영체제/Linux 2023.12.13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sort 옵션 사용법

명령어 sort란?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텍스트 데이터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기본 형태 sort [옵션] [파일 이름]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알파벳 순서로 정렬 sort -r: 파일을 역순으로 정렬 sort -n: 파일을 숫자를 기준으로 해 정렬 sort -r: 파일을 숫자 내림차순을 기준으로 해 정렬 sort -f :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정렬 sort -u: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한 후 정렬 가능 (혼합하여 사용 가능)

운영체제/Linux 2023.12.13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wc 옵션 사용법

명령어 su란? 파일의 바이트, 단어, 행의 수를 카운트하여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어 기본 형태 wc [옵션] [파일 이름] 옵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, 행 - 단어 - 문자 - 파일 이름 순으로 출력 wc -c: 바이트(byte)의 수를 출력하는 옵션 wc -c text 9256 text wc -l: 행의 개수를 출력하는 옵션 wc -L: 가장 긴 행의 문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옵션 wc -w: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옵션

운영체제/Linux 2023.12.13

내가 보려고 정리한 리눅스 명령어: hostnamectl 옵션 사용법

명령어 hostnamectl란? 시스템의 호스트 네임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 기본 형태 hostnamectl [커멘드] 호스트 네임: [root@localhost ~]# 에서 localhost 부분 옵션없이 사용하거나 status 옵션을 주면 현재 정보를 출력 hostnamectl status: 현재 호스트명 설정을 보여줌 (= hostnamectl) [root@localhost ~]# hostnamectl Static hostname: localhost reboot하면 설..

운영체제/Linux 2023.12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