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<VPC Peering>
- 서로 다른 VPC 간 사설 통신을 제공하는 서비스로, 목적에 의해 VPC를 구별해 놓았다가 VPC 간 통신이 필요하거나 구성한 VPC에 사용할 수 있는 IP가 없을 때 사용
- 각 VPC의 CIDR 대역이 겹치면 통신이 불가능함
- 다른 계정 간 생성도 가능하며 다른 리전 간에도 생성 가능
- 실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AWS 콘솔의 VPC의 Route Table에서 별도의 설정 필요
- VPC와 VPC, VPC의 일대일 연결만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VPC를 사용하면 VPC Peering의 개수 증가
<Transit Gateway>
- 서로 다른 VPC 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
- 중앙 허브를 통해 여러 VPC의 연결 정책을 관리할 수 있고, VPN을 통해 VPC와 온프레미스 네트워크 연결 가능 >> VPC Peering보다 간소화된 네트워크 구성 가능
- 다른 리전 간의 Transit Gateway와 피어링 연결 가능
- 온프레미스와 연결 가능
- CGW(Customer Gateway)란?
-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의 CGD(Customer Gateway Device)의 설정 값을 VGW에 제공하기 위한 가상 게이트웨이
- CGW(Customer Gateway)와 Transit Gateway를 연결하게 되면 Transit Gateway에 연결된 VPC는 VPN을 통해 온프레미스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
>> VPC Peering은 VPC 일대일 통신이고 Transit Gateway는 여러 개의 VPC끼리 통신할 수 있음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TP / SFTP + SFTP 서버 구축 실습 (0) | 2024.08.27 |
---|---|
Timeout과 3 Way-Handshake (0) | 2024.08.21 |
가상사설망 VPN과 IPSec VPN / SSL VPN (0) | 2024.08.18 |
IPv4와 IPv6 비교 / HTTP와 TCP 비교 (0) | 2024.06.07 |
부하분산, L4 / L7 로드밸런서의 개념 및 차이점 (0) | 2024.05.30 |